역대 대통령 임기, 업적, 어록, 사회문화 사건 정리


목차

1. 역대 대통령 임기 정리

대통령 임기 기간
이승만1948년 ~ 1960년
윤보선1960년 ~ 1962년
박정희1963년 ~ 1979년
최규하1979년 ~ 1980년
전두환1980년 ~ 1988년
노태우1988년 ~ 1993년
김영삼1993년 ~ 1998년
김대중1998년 ~ 2003년
노무현2003년 ~ 2008년
이명박2008년 ~ 2013년
박근혜2013년 ~ 2017년
문재인2017년 ~ 2022년
윤석열2022년 ~ 2025년 (탄핵)

2. 대통령별 주요 업적 및 사건 요약

  • 이승만: 대한민국 정부 수립, 6.25 전쟁, 부정선거 논란
  • 윤보선: 과도 정부 운영, 5.16 군사정변 발생
  • 박정희: 경제개발 5개년 계획, 산업화 추진, 10월 유신
  • 최규하: 12.12 군사반란 이후 조기 퇴진
  • 전두환: 5.18 광주 민주화운동, 서울올림픽 준비
  • 노태우: 북방정책, 남북 기본합의서 체결
  • 김영삼: 금융실명제, OECD 가입, 외환위기
  • 김대중: IMF 극복, 남북 정상회담 개최
  • 노무현: 참여정부, 한미 FTA 협상
  • 이명박: 4대강 사업, G20 서울 정상회의
  • 박근혜: 최순실 게이트, 탄핵
  • 문재인: 남북 정상회담, 코로나19 대응
  • 윤석열: 탄핵으로 임기 중단

3. 대통령별 대표 어록

  • 이승만: "우리는 자유를 위해 싸운다."
  • 박정희: "잘 살아보세."
  • 노무현: "사람 사는 세상."
  • 문재인: "평화가 경제입니다."

4. 각 시기별 사회/문화 주요 사건 정리

  • 1950년대: 6.25 전쟁 발발, 전후 복구 사업
  • 1960년대: 4.19 혁명, 경부고속도로 건설
  • 1970년대: 새마을운동 전개, 박정희 대통령 피살
  • 1980년대: 5.18 광주 민주화운동, 88 서울올림픽 개최
  • 1990년대: 민주화 진전, IMF 경제위기 발생
  • 2000년대: 남북 정상회담, 인터넷 보급 확산
  • 2010년대: 세월호 참사, 촛불집회와 대통령 탄핵
  • 2020년대: 코로나19 팬데믹, 탄핵 정국 재현

5. 시기별 대표 문화 트렌드

  • 1960~70년대: 트로트와 청춘가요가 인기를 끌며 국민학교 교육이 보편화되었습니다. 흑백 TV 보급이 시작되면서 가족 중심의 문화생활이 자리잡았습니다.
  • 1980년대: 드라마 "수사반장" 등 사회고발 드라마가 인기를 얻었고, 조용필 등 대중가수들이 록, 발라드 장르를 대중화시켰습니다. 컬러 TV가 본격 보급되며 대중문화가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.
  • 1990년대: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해 한국 대중음악에 혁신을 가져왔고, 1세대 아이돌 그룹(H.O.T, 젝스키스 등)이 탄생했습니다. PC통신과 인터넷 보급으로 팬덤 문화가 본격화되었습니다.
  • 2000년대: 드라마 "겨울연가"를 시작으로 일본, 아시아권에 한류 붐이 일어났습니다. 보아, 동방신기 등이 해외진출을 성공하며 K-pop 시대를 열었습니다.
  • 2010년대: BTS가 글로벌 슈퍼스타로 성장했고, 한국 영화 "기생충"이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 문화계에서 한국 위상이 크게 높아졌습니다.
  • 2020년대: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"오징어게임"이 세계적 인기를 끌었으며, 블랙핑크와 뉴진스 등 K-pop 그룹들이 세계 주요 차트를 장악하고 있습니다.

6. 시대별 대중문화 아이콘

  • 1980년대: 조용필, 김연자
  • 1990년대: 서태지와 아이들, H.O.T
  • 2000년대: 보아, 비(비)
  • 2010년대: 김연아, BTS
  • 2020년대: 블랙핑크, 뉴진스

본 포스팅은 2025년 4월 기준 대한민국 현대사 및 대중문화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